IPv6 전환, 기술보다 추진 의지 필요
상태바
IPv6 전환, 기술보다 추진 의지 필요
  • 데이터넷
  • 승인 2014.11.10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현주 A10코리아 지사장 “IPv6는 선택 아닌 필수”

인터넷기술처리위원회(IETF)의 IPv6 인터넷 표준 제정이 벌써 19년이 됐지만 상용망에서 완전한 IPv6 주소체계 전환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이처럼 IPv6 전환이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 인터넷주소관리기구(IANA)는 IPv4 주소공간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5개의 ‘/8’을 대륙별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관(RIR)에 이미 할당하면서 IPv4 주소 고갈은 현실로 다가왔다.

IPv4 주소 고갈 문제 현실화
IPv6 체계에서는 거의 무한대의 IP주소 생성으로 IP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되는 모든 기기에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사람과 사물 등 세상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며 무한한 가치와 기회를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IPv6 주소체계가 실제로 도입돼 안정화 및 일반화되기 까지는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서비스사업자 및 콘텐츠사업자에서 IPv6를 도입하더라도 여전히 인터넷상에는 IPv4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보장도 이뤄져야 한다.

유무선 인터넷 사업자 측면에서 보면 IPv4 주소체계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인 CGN(Carrier Grade NAT) 또는 LSN(Large Scaled NAT)으로 불리는 서비스사업자용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솔루션이 등장하면서 IP주소 부족이 일부 해소됐고, 당장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IPv6 전환에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지 못하는 것도 IPv6 전환 지연의 이유로 꼽을 수 있다.

공인 IPv4 주소 부족 대응이 시급한 모바일사업자들은 IPv6 도입에 적극적이지만 대다수 국내외 인터넷사업자들은 IPv4/IPv6 듀얼스택을 도입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듀얼스택은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IoT 도입에도 장기적으로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IPv6 주소체계 전환은 선택 아닌 필수”
현재 우리나라는 IPv6에 대한 연구와 시범 서비스가 이어지고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IPv6 상용 서비스 제공은 네트워크, 콘텐츠, 단말 사업자들의 이해관계 상충으로 인해 상호 도입을 미루고 있는 상황이며 투자 부담으로 IPv6 도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IPv6 지원 보안장비의 폭이 좁다는 점에서도 불안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그나마 국내 ISP와 콘텐츠사업자들도 IPv6 전환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을 설정해 IPv6 시범망 및 상용망 서비스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은 다행스런 일이다.

IoT 등 대규모의 IP주소를 필요로 하는 차세대 서비스는 주소가 고갈된 IPv4가 아닌 IPv6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IPv6 전용 네트워크에서 IPv4 전용 애플리케이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표준기술인 464XLAT(RFC 6877), BIH(RFC6535), DS-라이트 등이 상용 서비스에서 검증이 완료된 만큼 이제는 기술적인 개선보다는 해외사례처럼 IPv6 주소체계 전환에 대한 추진 의지가 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2014년을 IPv6 상용 서비스의 원년으로 만들 수 있도록 국내 사업자들의 IPv6 상용 서비스 도입 소식이 많이 들리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